Highlight

위기의 시대에 던지는 화두 ‘문명 전환’

2016-08-05 교육

경희대, 미원렉처 · 문명전환 총서 발간
세계 석학들의 현실 진단과 해결책 제시

1972년 로마클럽이 ‘성장의 한계’를 경고한 지 40여 년이 지났지만 파국의 징후는 사그러 들지 않고 있다. 인구 증가, 산업화, 환경 파괴, 천연자원 고갈은 여전히 현재진행형이다. 게다가 민족 분쟁, 군비경쟁, 실업, 빈부 격차가 고착화된 지 오래다.

해결의 조짐이 보이지 않는 상황에서 현대 문명의 위기는 만성질환처럼 여겨질 수도 있다. 인류가 사라지지 않고서는 좀처럼 벗어날 수 없는 질병 말이다. 하지만 인류가 처한 문제는 만성질환이 아니라 급성질환일 수도 있다. 공멸을 가져올지도 모를 유례없는 위험이기 때문이다.

1972년 출간된 『성장의 한계』는 인류에게 주어진 시간을 100년으로 보았다. 근본적인 변화가 없으면 100년 안에 암울한 미래가 모습을 드러낸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이제 우리에게 남은 시간은 50년 남짓이다. 50년 안에 현재의 문명을 전환하지 않으면 우리는 모두 함께 사라질지도 모른다.

보코바 “인간의 삶엔 평화가 기초해야”
지난 세기 중반부터 고등교육기관의 사회적 · 지구적 책임을 강조해온 경희대학교가 이러한 문제의식을 담은 도서를 잇달아 발행하며 문명 전환을 시대의 화두로 제시하고 있다. 미원렉처 시리즈와 문명 전환 시리즈를 기획해 지구적 차원의 복합 위기를 진단하고 해결책을 모색하고 있는 것이다.

미원렉처는 경희대학교 설립자 고(故) 조영식 박사의 호를 따서 만든 특별 강연이다. 국내외 석학과 실천인을 연사로 초빙해 인간, 세계, 문명의 새로운 지평을 탐색하고 있다. 이 특강 시리즈를 경희대학교 출판문화원에서 책으로 엮은 것이 미원렉처 시리즈다. 지금까지 7차례개최됐으며 그중 5개 강연이 책으로 발행됐다. 경제, 정치, 역사 등 여러 분야의 석학들과 국제기구 전문가들이 자신의 관점에서 문명의 현재와 미래를 논하고 있다.

『강대국의 흥망』이란 저서로 유명한 폴 케네디 교수는 『교육과 인류의 미래』에서 인류의 미래를 위한 대학의 역할을 강조한다. 대학의 역할은 복잡다단한 인간과 세계의 본질을 스스로 이해하는 능력을 키워주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 필요한 것은 완전히 다른 사유 방식이다. 사유 방식이 변해야만 더 높은 수준의 교육과 이해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폴 케네디 교수는 대학이 자기 역할을 제대로 수행할 때 인류의 미래에 희망이 있다고 말한다.

인류와 문명』은 고이치로 마쓰우라 전 유네스코 사무총장의 강연을 담고 있다. 이 책에서 저자는 지속 불가능한 현재의 삶을 지속 가능한 삶으로 바꿔야 하는 도전이 우리 앞에 놓여 있다고 강조한다. 지구 자원의 과잉 개발을 멈추기 위해서는 새로운 지구적 문명을 창조해 지구적 방식으로 행동하는 길밖에 없다고 논한다.

저명한 사회학자 프레드 블록 교수는 『지구적 근대성, 그 위기의 근원』에서 경제 위기를 넘어 근대성 자체까지 위협을 받게 된 원인을 먼저 분석한다. 그에 따르면 자본주의와 사회주의라는 이분법으로 경제를 바라보는 것이 문제다. 그렇다면 이분법 구조를 벗어나 위축된 집단적 상상력을 다시 활성화하는 것이 관건이 된다.

유네스코와 21세기 고등교육』에서 이리나 보코바 유네스코 사무총장은 인간의 존엄과 삶의 능력에 평화가 기초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평화의 또 다른 기반으로 문화적 다양성의 존중을 제시한다. 인간의 선천적 존엄을 보호하고 다양한 문화를 존중하는 것은 21세기 평화의 토대이자 새로운 휴머니즘의 뿌리다.

피터 카젠스타인 교수는 『세계 정치와 문명: 동서양을 넘어서』에서 정치와 문명의 문제를 다원주의 시각에서 풀어낸다. 그는 문명 간의 차이가 충돌을 가져오는 것이 아니라고 주장한다. 정치적 목적으로 문명의 본질을 이용하기 때문에 충돌이 일어난다는 것이다. 서로 교류하고 진화하면서 공존하는 문명의 본질은 다원주의적 경향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동서양을 가로지르는 다리를 건너 미지의 세계로 향해야 한다.

미원렉처 시리즈가 일반 독자를 대상으로 논제를 보다 쉽게 풀이한다면, 문명 전환 시리즈는 전문적으로 새로운 문명을 논하는 총서 성격의 시리즈다. 경희대 출판문화원은 그 첫 번째 책으로 어빈 라슬로 교수의 『의식 혁명(가제)』을 준비 중이다. 헝가리 태생의 과학철학자이며 시스템이론가인 라슬로 교수는 과학과 영성을 결합한 새로운 과학을 기반으로 인간과 우주의 연관을 주장한다. 그러면서 다양성을 존중하는 일체성을 새로운 문명의 패러다임으로 제시하고 있다.

하벨 “존중하고 차이 인정해야 공존가능”
『의식 혁명』에서 라슬로 교수는 다른 두 전문가와 대담을 나누며 우리가 처한 위기와 전환을 진단하고, 예술, 과학, 교육, 목표와 가치, 세계관, 종교, 영성의 역할을 숙고한다. 그리고 무엇보다 의식의 역할을 중시한다. 현재 우리 의식의 상태가 다른 모든 것의 기초가 되는 핵심 사안이라고 보는 것이다.

이 책은 9월 21일에 개최되는 경희대학교 Peace BAR Festival ‘지구 문명의 미래: 실존 혁명을 향하여’에 맞춰 발간될 예정이다. 경희대 출판문화원은 문명 전환 시리즈를 통해 문명 전환의 이론과 실천에 관한 다양한 분야의 전문 도서를 발행할 계획이다.

한편 경희대 출판문화원은 지난 5월 바츨라프 하벨 전 체코 대통령의 연설문집인 『불가능의 예술』을 발간하기도 했다. 더 나은 인류의 미래를 모색하는 경희대학교의 교육철학과 하벨의 정치적 지향점이 다르지 않기 때문이다. 하벨은 지구 문명을 위해 실천 도덕으로서의 정치를 추구했다. 다문화적 공존의 정신으로 서로를 존중하고 차이를 인정하는 것이 지구촌을 구할 수 있는 유일한 길이라고 본 것이다. 그리고 도덕의 핵심인 책임감은 우리의 삶을 넘어 자연, 지구, 심지어 우주까지 이어진다. 하벨은 인간, 자연, 지구, 우주가 신비롭게 연결돼 조화를 이루는 것이 인류 문명의 미래라고 확신했다.

문명 전환의 시대에서 우리는 그 누구도 예외일 수 없다. 현대의 위기는 우리 인류의 선택을 요구하고 있다. 공멸이냐, 공생이냐. 대학도 예외가 아니다. 대학의 존재 이유는 과거와 현재를 성찰하면서 미래를 창출하는 데 있다. 폴 케네디의 말처럼 대학이 대학 본연의 역할과 책임을 재확인하고 대학의 공공성을 실천해야 할 때다. ‘대학의 미래, 인류의 미래’를 강조하는 경희대가 출판하는 책들을 유심히 지켜봐야 하는 이유다.
 

  • 많이 본 기사

    • “촛불의 시대적, 역사적 의...

      “촛불의 시대적, 역사적 의미는 무엇인가?”

      2017-09-11

      More
    • 후마니타스칼리지, ‘전환 설...

      후마니타스칼리지, ‘전환 설계’ 역량 강화한다

      2017-09-11

      More
  • 멀티미디어

    • 경희 이공계열에 대한 모든 ...

      경희 이공계열에 대한 모든 것

      2024-01-12

      More
    • [지식쿠] 우리가 사용하는 ...

      [지식쿠] 우리가 사용하는 모든 것은 화학에 ...

      2023-05-12

      More
  • 지난 호 보기

    • 뉴스레터 Lux Humani...

      뉴스레터 Lux Humanitas Vol.2 4호

      2017-09-12

      More
    • 뉴스레터 Lux Humani...

      뉴스레터 Lux Humanitas Vol.2 3호

      2017-09-11

      More